2024. 10. 19. 23:14ㆍIT 관련정보
최근 귀사의 웹사이트에서 당사의 콘텐츠가 무단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세심한 검토 끝에 우리는 이러한 행위가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한국의 저작권법에 따르면, 저작권 물질을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심각한 법적 위반입니다. 이에 따라 귀사에 해당 콘텐츠를 즉시 검토하고 제거해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대형 기획사나 유명 로펌을 사칭한 저작권 위반 관련 피싱 메일이 유포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에 따르면, 이 피싱 메일은 '제품 광고에서 이미지와 콘텐츠 저작권 위반 신고'라는 제목으로 발송되며, 수신자에게 저작권 침해 요소를 제거하라는 요청과 경고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메일을 받은 수신자는 불안감을 느껴 메일에 포함된 링크를 클릭하려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고 저작권 위반 세부사항'이라는 이름의 압축 파일이 다운로드됩니다. 하지만 이 파일 속에는 실제로 악성코드가 숨어 있습니다. 이 압축 파일 내의 '세부 사항 위반' 파일은 악성 실행 파일(EXE)로, PDF 아이콘으로 위장되어 있어 수신자가 이를 인지하기 어렵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XWorm V5.2'라는 원격 접근 도구(RAT)로, 감염된 PC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악성코드는 웹캠과 키보드를 모니터링하여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계정 정보 및 민감한 데이터를 탈취하는 등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ESRC는 "저작권 위반이나 법적 경고와 같은 민감한 주제를 악용해 불안감을 조장하는 피싱 메일이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따라서 메일 안의 링크나 첨부 파일을 클릭하기 전에 항상 신중하게 확인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은 절대 실행하지 말아야 합니다.
피싱 메일을 받았을 경우, 발신자의 이메일 주소를 확인하고 직접 연락해 메일 발송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 글은 뉴시스의 기사를 참고하여 작성된 글입니다!
뉴시스
정확하고 깊은 뉴스로 독자와의 공감을 추구합니다
www.newsis.com
'IT 관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5 프로와 '몬스터헌터 와일즈'가 불러온 반전 열풍: 가격 논란 속에서 고조되는 기대감 (0) | 2024.10.30 |
---|---|
짧은 영상, 긴 여운: 60대도 사랑한 '숏폼'의 긍정과 부정적 영향 (1) | 2024.10.30 |
애플 MR 헤드셋 '비전 프로' 생산 차질…고가 전략의 한계와 미래 전망 (5) | 2024.10.24 |
애플, 인공지능 '애플 인텔리전스' 출시로 모바일 AI 경쟁 가세 (2) | 2024.10.24 |
엔씨소프트, 자회사 신설 및 구조조정 단행: 게임 산업의 새 국면 맞이하나 (2) | 2024.10.21 |